본문 바로가기
영화리뷰

토이스토리1 틀렸다는 것을 인정하는 용기

by humblewalker 2023. 8. 16.
반응형

 

pixabay

어렸을 적에 정말 다양한 장난감을 갖고 놀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 소개해드릴 이 애니메이션에 영향을 받은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그 장난감들이 제가 모르는 사이에 살아서 움직이지 않을까 상상했던 적도 많은 것 같습니다. 20년 전 저 같은 어린이들의 상상에 불을 지폈던 픽사 애니메이션 영화 토이스토리 1에 대해 소개드려 보고자 합니다.


1. 요약

이 애니메이션의 기본적인 설정은 장난감 주인들이 사라졌을 때 장난감들이 살아 움직인다는 것입니다. 우디(Woody)라는 카우보이 인형은 이 영화의 주인공이자 주인 앤디(Andy)가 가장 사랑하고 아끼는 장난감입니다. 하지만 앤디의 생일날 버즈(Buzz)라는 우주전사(Space ranger) 장난감을 선물 받고 난 다음부터는 앤디는 버즈를 더 좋아하고 더 자주 갖고 놀게 되면서 우디는 자신의 위치를 빼앗겨 열등감에 사로잡혔고, 자신이 장난감임을 부정하고 진짜 우주전사라고 생각하는 버즈의 모습을 꼴 보기 싫어했습니다.
그러던 중 우디와 버즈는 여러 사건들에 의해서 안락한 집을 떠나 피자플래넷에 가게 되고, 그리고 말썽꾸러기 아이 시드(Sid)의 집에도 가게 되면서, 버즈는 자신이 장난감이라는 정체성을 찾아가고, 우디와 버즈는 세상에 둘도 없는 우정을 쌓아가며 다시 앤디에 집에 돌아오는 줄거리입니다. 제가 많은 줄거리를 설명드린 것 같지만, 제가 설명드린 게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직접 보시면서 느끼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2. 영화의 특징, 주제, 그리고 명대사

이 영화는 30년 가까이 지난 지금 봐도 전혀 지루하지 않고 뻔하지 않습니다. 제 주변에 10대 MZ들에게 다시 보여줘도 좋은 평을 들을 만큼 스토리가 괜찮습니다. 특히 열등감에 사로잡혀 있는 우디, 그리고 다른 사람이 뭐라 하든 자신은 우주전사라고 생각하는 버즈, 그리고 그 둘의 티격태격하면서 맞이하게 되는 에피소드들이 정말 이 영화를 몰입하게 만드는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이 영화(특히 이번 시리즈)의 주제 중 하나는 "자신이 틀렸다는 것을 인정하는 용기"라고 생각합니다. 우디는 난생처음으로 주인 앤디의 장난감 놀이에서 주인공 자리를 버즈에게 빼앗겼습니다. 영화 내내 자신이 앤디에게는 최고라는 사실이 틀렸다는 것을 인정하기 힘들어니다. 그리고 버즈 이제 앤디와 모든 장난감들에게 최고로 인정받는 사실도 받아들이기 어려워합니다. 영화 극 초반에 어떻게 하다가 버즈가 하늘을 날자, 우디는 "This isn't flying. It's falling with style."이라는  버즈는 자신이 우주전사가 아니라는 사실을 영화 내내 인정하지 않고, 심지어 그것을 증명하려고 시도하다가 큰 사고를 당하고 크게 상심하게 됩니다. 하지만 여러 시련을 겪고 서로를 도와주면서 이들을 우정을 싹 틔우게 되고, 각자 자신이 틀렸다는 것을 인정하는 용기를 배우게 됩니다. 그리고 그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사로, 앞에서 나왔던 "This isn't flying. It's falling with style."라는 말을 버즈가 하게 되면서 감격적인 클라이맥스를 보여주게 됩니다.

3. OST

토이스토리 시리즈의 대표적인 OST는 바로 Randy Newman의 "You've got a friend in me"입니다. 피아노 반주만 나와도 토이스토리 노래라는 것이 느껴질 만큼 이 영화의 대표적인 OST입니다. 제목에도 나와있듯이 노래 가사는 우정에 관한 내용이며, 이 노래는 Academy Award for Best Original Song 후보에 오를 만큼 인정받은 곡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노래를 불렀지만, 그중에서 저는 개인적으로 4살 Claire라는 아이가 부른 버전을 가장 좋아합니다. The Crosbys라는 유튜브 채널에 딸아이와 아빠가 함께 불렀는데, 아이가 노래에 진심이어서 너무 귀엽기도 하지만 실제로 노래도 너무 잘 불러서 그 영상을 계속 다시 봤을 만큼 사랑스러운 버전의 You've got a friend in me이기에 추천합니다.

pixabay

 

반응형